[한국농어민뉴스] 수산공학수조 인프라 개선, 공공 연구기능 강화
최신 정밀 계측 장비 도입 및 수조 사용 기준 개정 통해 활용도 제고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수산공학수조*의 노후 장비를 최신 정밀 계측 장비로 교체하고, 사용 수수료 산정기준을 개정하여 수산분야의 공공 연구시설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고 밝혔다. * 어구(漁具) 및 어선 개발을 위한 예인수조, 회류수조, 2차원 조파수조로 구성된 연구시설 수과원은 최근 실험 정밀도를 높이고 다양한 해양 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저항동력계(어구·어선 저항 계측용), △자항동력계(어선 자체 추진 성능 평가용), △초음파 파고계(해양파 정밀 계측용) 등 노후 장비를 최신 정밀 계측 장비로 교체하였다. 이를 통해 어선 선형 성능 시험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수산·조선·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술 지원이 가능해졌다. 또한, 공공 연구시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수산공학수조 사용 수수료 산정기준도 정비하여, 노임단가와 전기료 등 실제 비용을 반영해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하였다. 이번 개정은 연구환경 변화에 맞춰 민간 연구기관과 산업체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2002년 준공된 수산공학수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산공학 분야 연구시설로, 어구(漁具) 성능 분석, 어선 선형 개선, 양식시설 내재해성 평가, 해양수산 신기술 실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연구시설로 활용되었다. 수산공학수조는 예인수조, 회류수조, 2차원 조파수조로 구성된 연구시설로 예인수조는 길이 85m, 폭 10m, 깊이 3.5m 규모로, 예인 전차를 활용해 실험 대상물을 끌면서 실험한다. 회류수조는 280톤의 물을 최대 3m/s 속도로 순환시켜, 어구나 어선 주변을 지나는 물의 흐름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2차원 조파수조는 수조 내 조파장치를 통해 바다의 불규칙한 파도를 재현할 수 있으며, 최대 파고는 50cm로 모형 크기에 따라 실제 바다에서 약 7m 높이 파도에 해당한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수산공학수조는 우리나라 수산 기술 발전을 견인해 온 핵심 공공 연구기반”이라며, “앞으로도 정밀 계측 장비 확충과 수요자 중심의 운영을 통해 개방형 연구 인프라를 조성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수산공학수조 이용과 관련된 세부사항은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www.nifs.go.kr) 또는 담당 부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이 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기사 수산어업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