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국립공원 숲 결혼식 기회 확대… 인생의 특별한 순간을 자연과 함께 [한국농어민뉴스] 경지면적 감소 추세지만 감소 폭은 둔화… 농지 보전 노력 지속 [한국농어민뉴스] 한식진흥원, K-미식벨트 “김치·전통주·인삼” 미식 관광 상품 개발 [한국농어민뉴스] ‘청년창업농장학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한국농어민뉴스] ‘경기 베이비부머 인턴십’ 참여기업·참여자 모집 [한국농어민뉴스] 경기도, ‘2025 농어민 기회소득’ 접수...연간 18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충남도는 창업을 계획하는 청년을 위해 창업 전반에 도움을 주는 ‘2025년 충남 청년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모집 기간은 이달 4일부터 31일까지며, 대상은 19∼39세 관내 창업했거나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이다. 분야는 △생활업종 △기술업종으로 나눠 모집하며, 각 분야의 특화기관인 충남신용보증재단과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가 총 60팀을 선발해 지 기술규제 검토체계 개선방향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이 기업의 인증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증제도를 합리화하고 신설 인증을 억제하는 방안을 담은 ‘기술규제 사전·사후 검토체계 개선방향’을 발표했다. 해당 안건은 제578회 규제개혁위원회에서 보고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법정 인증은 257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186개 → 2022년 222개 → 2024년 257개) 이에 백신접종 방식 전환, 농가 자율방역 체계 구축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청정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럼피스킨 중장기 방역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위험도 기반 예찰·방제, 백신접종 방식 전환, 질병 관리 수준 완화 등 제도개선을 포함한 세부 대책을 올해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럼피스킨은 소에서만 감염되는 가축전염병으로, 2023년 10월 국내 소 사육 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같은 해 특허기술 이전 설명회, 카카오쇼핑 등 MD초청 1:1 매칭 입점 상담로컬 빵&떡 맵, 우리밀․쌀 가공품 홍보 및 APEC 겨냥 간식 시식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이 28일 스탠포드호텔안동에서 '경북 농식품 스타상품쇼'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변화하는 식품산업 트렌드에 대응하고, 경북 농식품 가공산업의 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도의원, 대학교수, 농식품 벤처·기업 '25년 농산업 혁신벨트 조성사업, 전국 1개소 중 경남 최초 선정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2025년 농산업 혁신벨트 조성사업’에서 전국 최초로 선정되며, 농촌경제 활성화와 농촌지역 소멸 대응에 앞장선다. 이번 사업을 통해 경남 하동군이 총사업비 40억 원을 확보하여 청년기업 중심의 농산업 혁신을 이끌어 갈 계획이다. 하동군, 청년기업 융복합 플랫폼 구축농산업 혁신벨트 공모사업은 농업생산과 재정 3,000억 원 투입, 어촌 거점 조성 해양수산부는 2월 26일 ‘2025년도 어촌신활력증진 사업’ 신규 대상지 25개소를 선정해 발표했다.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은 어촌 300개소를 대상으로 총 3조 원을 투자해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어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어촌 경제플랫폼 조성(유형1) △어촌 생활플랫폼 조성(유형2) △어촌 공동영농·조직화 및 가루쌀 생산 시설·장비 등 지원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가루쌀 전문 생산단지 151개소를 선정하고, 공동영농 및 조직화 지원과 함께 가루쌀 생산에 필요한 시설·장비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쌀 수급 안정과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가루쌀 산업 육성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가루쌀 생산단지 육성 및 지원을 본격화했다. 가루쌀은 전분 구조가 둥글고 성글게 배열되어 지리산 노고단, 북한산 우이령 우선 시행 후 점차 확대 예정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오는 3월 1일부터 인공지능(AI) 음성기능(보이스봇)을 활용한 국립공원 탐방로 자동 전화예약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이번 서비스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어려운 정보취약계층을 포함한 탐방객들에게 보다 편리한 예약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됐다. 자동 전화예약 서비스는 국립공원공단의 대표 전화번호(16 << < 1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