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영농부산물 소각 ‘미세먼지’ 배출량 현행화 ‘신뢰도 제고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3-09 09:13
  • |
  • 수정 2025-03-10 12:51
글자크기

농촌진흥청, 영농부산물 소각 부문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개발·등록

과대 산정 미세먼지 배출량 재 산정정책 수립에 반영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 7일 영농부산물 소각 실험시스템 연구 현장 방문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영농부산물 소각 부문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개발해 과대 산정된 미세먼지 배출량을 재산정했다.

배출계수: 대기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발생하고 배출되는지를 나타내는 계수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전에 먼저 구축해야 할 미세먼지 배출량 관리 체계(인벤토리)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체계가 불확실하면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될 우려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외 지침을 적용하고 실제 실외 소각 조건과 비슷한 영농부산물 소각 실험시스템을 개발해 콩, 보리 부산물 소각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고도화했다.

*총 부유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이와 관련해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은 37일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영농부산물 소각 실험시스템 연구 현장을 방문해 시설을 둘러보고 기술 적용 상황을 점검했다.

 

이 부장은 연구진과 함께 영농부산물 소각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량 저감 대책을 논의하고, 신뢰성 높은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과 정보제공을 당부했.

 

또한, “정확한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은 관련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선행 과제다.”라며, “2026년까지 주요 작물 12개의 소각 배출계수를 추가 개발해 과대 산정으로 오해를 받는 영농부산물 소각 부문 미세먼지 배출량을 현행화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초미세먼지 배출량 57,317톤 가운데 7,177(13%)이 영농부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인 것으로 보고돼 있다. 지금까지는 농업 현장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배출계수를 적용한 탓에 영농부산물 소각 배출량이 과대 산정됐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