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국화 ‘백강’ 지역 맞춤 기술로 보급 늘고, 수출길 활짝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3-13 18:20
  • |
  • 수정 2025-03-13 18:43
글자크기

부산과 공동 추진, 기술 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 성과 가시화

부산 내 재배 면적 5.4배 늘어지난해 19만 송이 일본 수출도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우리나라 대표 국화 품종인 백강지역 맞춤 스마트 재배 기술 적용에 힘입어 내수 시장은 물론 수출도 안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313일 부산에 자리한 백강재배·출 농가를 방문, 우리 국화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기술 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

농촌진흥청의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은 지역의 전략작목 육성, 현안 해결 등을 위해 농업기술센터가 주관이 되어 기술보급사업, 연구사업, 민간기술을 연계하여 네트워크형으로 기술보급을 추진하는 사업

 

백강(2015년 개발)’은 우리나라 최초로 개발한 흰녹병* 저항성 국화 종이다. 꽃 색이 깨끗하고 꽃잎이 잘 빠지지 않는 데다, 자른 꽃(절화) 수명이 3~4주로 길어 수출용으로 알맞다.

*국화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으로 잎 앞면에 황색 점무늬가 발생해 상품성을 떨어뜨림. 국제 검역 병해로 수출 제한 요인이 됨

 

특히, 겨울철 재배 온도(18)가 기존 품종보다 2()가량 낮고, 방제 비용도 덜 드는 등 재배 면에서 유리하다.

 

농촌진흥청과 부산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부터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 모델 시범사업을 통해 백강의 재배 기술 정립과 수출 시범단지 육성 등 생산 기반 확대에 힘쓰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부산 시범단지에 적정 빛 가림 시간과 생장절제 처리, 예비 냉장 등 재배와 수확 후 관리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적정 단일처리 시간(기존 13시간보다 짧은 12시간 30분 권장), 생장조절제(B-9) 처리, 꺾꽂이 묘 저온처리, 적정 수확 시기(‘백강은 개화 속도가 빨라 기존보다 일찍 수확), 예냉 등 전처리 방법 지도

 

또한, 부산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 최적의 비료와 물을 공급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성 향상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13곳에 불과했던 부산의 백강재배 농가는 현재 15, 재배 면적은 1.1헥타르(ha)에서 5.9헥타르(ha)로 약 5.4배 늘었다. 이례적으로 열대야가 9월까지 이어지며 평년보다 더웠던 작년 여름에도 부산에서는 백강’ 19740(송이), 12만 달러어치를 일본으로 수출해 수출 품종으로의 경쟁력도 입증했다.

 

백강내수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일본 수출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면서 전국 재배 면적은 20213헥타르(ha)에서 202418.3헥타르(ha)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강2024년 연평균 단가는 속(20송이/묶음)6,907원으로, 주요 거래 품종인 백선(도입 품종)’(5,521)보다 높음

 

부산에서 스마트 재배 기술로 백강을 재배하는 선경식 농가는 백강은 흰녹병 발생 걱정이 없고 시장 선호도가 높아 내수 판매뿐 아니라 수출용으로도 만족스럽.”라며 자동 양·수분 리로 최상급 꽃 비율이 늘면서 소득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현장을 둘러본 권재한 청장은 국산 국화 품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품종 개발뿐 아니라, 재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농업 기술과 체계적인 수출 전략이 함께 만들어져야 한다.”라며 농촌진흥청은 부산에서의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 시범사업 사례를 모델로 삼아 고품질 국화 생산 시스템 보급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한편, 안정적인 판로 확보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