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구제역 유입 차단을 위해 긴급 백신 접종 실시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3-15 07:18
  • |
  • 수정 2025-03-17 10:04
글자크기

14일부터 소염소 12천여 농가 388천여 마리 구제역 백신 긴급 접종

접종 후 백신 항체확인 검사 결과, 기준치 미만 농가 재접종 및 과태료 부과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전남 영암 한우 사육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우리도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위해 당초 41일로 예정되었던 일제 접종을 314일로 앞당겨 소염소 농가를 대상으로 구제역 백신 일제 접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일제 접종은 도내 전체 소염소 농가로 12천여 농가 388천여 마리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효과적인 백신접종을 위해 소 100마리, 염소 300마리 이상 사육 농가는 322일까지 9일간 내 농가 자가접종을 완료하도록 하고, 그 외 농가는 공수의사 등 접종지원반을 동원해 331일까지 실시하기로 하였다.

* (돼지) 개체별 사육기간(6개월 정도)이 짧아 일제 접종이 맞지 않아 농가별 분만 주기 등 사양 프로그램에 맞춰 연중 실시

 

경남도는 그동안 소 50마리 미만, 염소 300마리 미만 소규모 농가에 접종 지원을 해왔으며, 정확한 백신접종 및 농가의 백신접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자체 사업비 108천만 원을 추가로 확보하여, 50마리 이상 100마리 미만 소 농가에도 대상을 확대하여 접종을 지원한다.

 

백신 접종을 완료한 농가는 구입한 백신을 개체별로 접종 사실을 반드시 관할 시군 또는 지역 축협에 신고하고, 시군에서는 축산물 이력관리시스템에 접종 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구제역 일제 접종이 완료된 이후에는 올바른 백신접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접종 4주 이후 무작위로 농가와 개체를 선정해 항체양성률 기준치에 미달한 농가에 대해서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재접종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농가 백신접종률을 향상하기 위해 공수의별 백신접종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창근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23년 충북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2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백신접종을 소홀 하면 언제든지 도내 발생 위험이 있다라며, “축산농가의 빠짐없는 구제역 백신 접종을 당부하였다.

 

한편, 경남도는 2011년 김해시 농가 60, 양산시 농가 10, 2014년 합천군 농가 1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11년간 구제역 청정 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