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과수산업 경쟁력 높일 현장실증연구 본격 추진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4-07 17:15
  • |
  • 수정 2025-04-07 17:37
글자크기

포도, 사과 안정 생산 위해 수분, 온도 관리 등 3개 과제 추진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과수 분야 현장실증연구과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48~9일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에서 농가와 산업체, 지역 담당자가 참여하는 공동연수(워크숍)를 연다.

 

최근 들어 과수 생육기 저온으로 과일나무 새순이 얼어 죽거나, 고온가뭄에 의한 당도 저하, 껍질 색이 잘 들지 않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에는 과수 생육 초기인 4월 하순 기온이 영하 2~4()까지 떨어졌고, 성숙기인 78월에는 열대야가 22일 연속 발생했다. , 8월 강우량은 평년 대비 7.846.8%에 그쳤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올해 7개 지역에서 과수 분야 현장실증연구 3과제를 추진해 기술의 빠른 현장 안착을 도울 계획이다.

 

포도 무가온 하우스 온도 제어시스템은 이상저온에 의한 새순 고사, 꽃 피는 시기 꽃떨이 현상 방지를 위해 포도 온실에 열풍 공기 순환 팬을 설치, 생육 초기(3℃↑)와 개화기(12℃↑) 온도를 관리하는 과제이다.

 

사과 햇빛 차단망 제어시스템은 고온기 햇빛 데임 피해와 마른 장마기 물 부족에 따른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온도·강우 반응형 햇빛 차단망 시스템을 설치·활용하는 과제다. 이 시스템에는 자동관수시설도 함께 적용해 누적 강우량이 7일간 20이하면 991(300) 20톤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당도와 착색을 향상할 수 있다.

 

포도원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은 캠벨얼리껍질 색이 까맣게 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다. 착색 불량은 고온과 햇빛 부족뿐 아니라, 가뭄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시스템은 5일 간격으로 991(300)20톤의 물을 공급하고, 성숙기에는 물 15톤씩을 3일 간격으로 줄여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포도 무가온 하우스 온도 제어시스템포도원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기술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했다. 사과 햇빛 차단망은 의성군농업기술센터에서 개발한 기술에 농촌진흥청과 의성군농업기술센터가 공동으로 강우 반응형 자동관수장치를 추가해 실증 중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이남수 과장은 개발 기술을 보급하기 전 효과와 실용성 등을 검증하는 현장 실증과정을 거치면 연구 단계에서 미처 예상치 못했던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기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라며 꼼꼼한 과제 추진으로 과수 생육기 이상 저온과 고온, 가뭄 등에 대응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