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급격한 수온 상승, 생태계와 수산업 영향 뚜렷
국립수산과학원, “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 발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현황과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브리핑 북에 따르면, 최근 57년간(1968~2024년) 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하였으나, 우리나라 해역은 1.58℃ 상승하여 2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동해의 표층 수온 상승 폭(2.04℃)이 가장 컸으며, 이는 최근 동해로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 세력 강화*와 여름철 지속적인 폭염 증가**로 인한 해수면 부근의 성층 강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 ’24년 6~8월 평년대비 20% 높은 난류수송량 유입으로 저위도로부터 열에너지 공급 증가 ** 폭염 특보(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날): (‘21) 11.8일, (’22) 10.6일, (‘23) 14.2일, (’24) 30.1일 *** 성층(Stratification) 강화: 표층 수온 상승으로 표층수의 밀도가 낮아져, 저층과의 밀도 차이로 해수의 수직 혼합이 약화되는 현상 해양의 기초생산력를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는 2003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 해역에서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2024년 기준 기초생산력은 전년 대비 21.6% 감소해 우리 바다의 생태계 생산성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2024년에는 9월 하순까지 이어진 고수온 현상으로 1,430억 원 규모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하여,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후 최대 피해액을 기록했다.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 톤에서 2020년대에는 91만 톤 수준으로, ‘24년에는 84.1만 톤까지 감소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영향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과원은 이번 브리핑 북을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어업인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수과원 전자도서관 누리집(https://www.nifs.go.kr/library/)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기후변화는 우리 바다와 수산업 전반에 걸쳐 예상보다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라며, "브리핑 북을 통해 해양수산분야의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고,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이 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기사 정부/국회 정책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