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주택태양광 예산 대폭 확대 지원 [한국농어민뉴스] 외부 전력 ‘0’ 탄소중립 공공건물 탄생 [한국농어민뉴스] 아파트 옥상문 자동개폐장치 관리 의무화 [한국농어민뉴스] 사과다축묘 생산·공급 체계 구축 [한국농어민뉴스] 제50회 신사임당상수상자‘강릉 박선자씨’선정 [한국농어민뉴스] ‘플랫폼노동자 산재보험료 지원사업’ 1차 모집. 올해는 화물차주도 지원 해양수산부, 이달의 어촌 여행지 ‘경남 사천시 비토마을’ 선정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해양수산부에서 주관하는 ‘이달의 어촌 여행지’에 사천시 ‘비토마을’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사천시 서포면에 위치한 비토마을은 별주부전의 전설이 스며있는 곳으로, 지세가 토끼와 거북, 학 등의 동물 형상을 하고 있다. 본래는 섬이였으나 1992년 비토 연륙교가 건설되면서 육지로 바뀌었다. 비토마을은 지난 2021년 어촌체험 - 4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기간 내 7일간 열려- 새로운 이색스포츠 발굴·보급으로 도민에게 새로운 콘텐츠 제공 경기도가 ‘제1회 경기도지사배 대학미식축구 춘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한다. 도는 4일 경기도인재개발원 운동장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서울·경기 10개 대학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페어플레이를 다지며 ‘제1회 경기도지사배 대학미식축구 춘계선수권대회’ 개회식을 가졌다. 김동연 지사는 - 오는 5월 14일 전면 개방, 참가자는 온라인 및 모바일 앱에서 신청- 비무장지대 일원 관광자원의 세계적 명소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경기도가 오는 5월 14일(화)부터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을 개방한다.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은 경기·인천·강원 등 접경지역 시도 10개 시군의 민통선 지역 관광자원과 연계한 노선이다. 문화체육관광부·행정안전부·국방부 등 관련 부처가 함 - 어촌체험휴양마을에서 일과 휴가를 함께 경험할 참가자 모집- 펼쳐진 바다를 보며 일과 휴식을 동시에, 어촌으로 가자!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어촌에서 일과 휴가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2024년 어촌체험휴양마을 워케이션’에 참가할 기업·개인을 4월 30일(화)부터 연중 모집한다. 어촌체험휴양마을 워케이션은 어촌체험휴양마을에서 업무(공유오피스)와 어촌체험, 조식, 숙박 등을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주 노후 어항시설 보강 및 어민 편의시설 조성으로 어촌 정주여건 개선 추진 경기도는 화성 매향항과 안산 풍도항 일대 어업기반시설 개선과 안전한 어항 조성을 위한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화성 매향항·안산 풍도항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안전인프라 개선 사업으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각 45억, 5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도는 선착장 보강, 해수소통구 설치, 어민쉼터 조성 및 배 - 7월부터 노인 1천 명 대상 AI기반 ‘스마트폰’ 활용 케어 서비스 제공- 24시간 휴대폰 작동 없으면 돌봄매니저에 즉시 알림- 카메라에 손만 대면 심혈관 상태 알려주고 돌봄매니저에 보내- 5월부터 재가노인서비스센터 35개소에서 신청·접수 경기도는 7월부터 도내 65세 이상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늘편한 AI케어 시범사업’을 실시한다며 5월부터 대상자 모집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NHN-와플랫의 앱 기술지원과 - 곤충콘텐츠 전시, 곤충 특가전, 곤충 체험활동 등 다양한 행사 준비- 4월 29일 오전 10시부터 경기곤충페스티벌 누리집 사전예약 경기도농업기술원이 5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2024 경기곤충페스티벌’을 개최한다. 한 회차당 300가족이 참여 가능한 이번 행사는 농업기술원에서 1일 2회, 이틀간 총 4회로 운영되며 오전 회차는 9시부터 13시, 오후 회차는 14시부터 18시로 나눠 진행된다. 이번 귀농‧귀촌인, 농촌유학가족, 외국인 근로자 대상 지역 맞춤형 사업 추진 강원특별자치도는 우리 도에 머물면서 거주‧체류하는 생활인구를 늘리기 위한 강원 스테이(GANGWON STA-E) 시범사업을 이번 달부터 본격 추진한다. 본 사업은 3년간 2개 분야(지역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유휴공간을 활용한 주거‧공용공간 조성 지원) 총 30억 원 규모로 추진되며, 2024년엔 총 10억 원으로, 분야별 2~4억 원이 지원된다 <<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