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 130억달러 돌파
2024년 농식품 수출은 100억달러, 전후방산업은 30억달러 달성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잠정)이 지난해보다 6.1% 증가한 130.3억달러로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농식품 수출액은 99.8억달러, 전후방산업은 30.5억달러로 각각 집계되었다. ▲ 케이-푸드 플러스(K-Food+) : 농식품 + 전후방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의약품 등) 특히, 2024년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의 주요 특징은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 130억 달러 돌파, 최대 수출액 경신, 다수 품목(14개) 역대 최고 수출액 기록, K-Food+신규시장 및 수출영토 확대이다. 농식품 수출은 전년 대비 9.0%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3년간 수출 성장률의 3배에 가까운 높은 증가율이며, 2015년 이후 9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게 되었다. 라면, 쌀가공식품 등 가공식품이 역대 최대 실적으로 전체 수출을 견인하였고, 신선식품 중에는 김치가 1.6억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농식품 수출 1위 품목인 라면은 전년도 실적인 9.5억달러를 10개월만에 초과 달성하여 연말까지 12.5억달러 수출되었다(전년 대비 31.1%↑). 라면은 드라마, 영화 등 케이(K)-콘텐츠에 자주 노출되고 라면먹기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권역별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텍사스의 대형 유통매장 신규 입점에 성공하면서 수출이 70% 이상 증가하였다. ▲ 라면 수출액: (`23) 952.4백만달러 → (`24) 1,248.5 (31.1%↑) ▲ 주요국(성장률): 중국 260.5백만달러(20.9%↑), 미국 215.6(70.3↑), 네덜란드 91.1(50.1↑) 상위 수출 품목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쌀가공식품은 전년 대비 38.4% 성장한 3.0억달러 수출되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였는데(51.0%↑), 글루텐프리 건강식, 간편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 쌀가공식품 수출액: (`23) 217.2백만달러 → (`24) 299.2 (38.4%↑) ▲ 주요국(성장률): 미국 173.2백만달러(51.0%↑), 베트남 16.2(10.7↑), 일본 11.7(△6.9) 전통식품인 김치는 163.6백만달러 수출되었는데, 이는 역대 최대 실적인 2021년 159.9백만달러를 3년만에 넘어선 것이다. 미국과 네덜란드 등 신규 시장에 비건김치, 상온유통김치 등 신제품을 소개하고 입점매장을 확대한 것이 수출 증가(5.2%↑)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김치 수출액: (`23) 155.6백만달러 → (`24) 163.6 (5.2%↑) ▲ 주요국(성장률): 일본 54.0백만달러(△12.1%), 미국 48.0(20.0↑), 네덜란드 9.6(29.9↑) 미국‧중국‧아세안‧유럽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하였고 특히, 냉동김밥 성장을 주도한 미국, 건강식에 관심이 높은 유럽, 라면 수요가 증가한 중남미에서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고, 수출액 1위 국가는 미국, 2위는 중국, 3위는 일본으로 집계되었다. ▲ 미국 1,592.9백만달러(21.2%↑), 중국 1,512.6(7.9↑), 일본 1,374(△4.3), 아세안 1,908.8(4.3↑), 유럽 680.8(25.1↑), 중동 336.3(10.0↑), 중남미 236.3(21.8↑) 2024년 최대 수출 시장인 대(對)미국 수출은 역대 최대 실적(15.9억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3위 시장에서 1위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과자류, 라면, 냉동김밥 등이 사회누리망(SNS)에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얻었고, 현지 스포츠 행사(야구‧골프대회 등) 및 대학과 연계한 케이(K)-푸드 체험 기회를 통해 인지도가 더욱 높아졌다. 여기에 현지 대형 유통매장(코스트코 등) 및 소매점(파이브빌로우 등) 입점이 확대되면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미국 수출액: (`23) 1,313.8백만달러 → (`24) 1,592.9 (21.2%↑) ▲ 주요 수출 품목: 과자류 281.6백만달러(32.9%↑), 라면 215.6(70.3↑), 쌀가공식품 173.2(51.0↑)
중국은 온라인 플랫폼(티몰, 징동 등)에서의 라면 판매 확대 및 케이(K)-음료의 현지 카페 체인점 입점 확대로 5월부터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어 연말 7.9% 성장을 기록하였다. 지난 10년 이상 농식품 수출 1위 시장이었던 일본의 경우 과자류, 라면, 인삼류 등 주요 품목 수출 증가에도 엔저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 및 소비 위축 장기화로 인해 전체 농식품 수출은 4.3% 감소하여 수출 3위 시장이 되었다. ▲ 일본 수출액: (`23) 1,435.1백만달러 → (`24) 1,374.0 (△4.3%) ▲ 주요 수출 품목: 과자류 76.3백만달러(5.7%↑), 라면 62.5(7.9↑), 김치 54.0(△12.1) 주요 시장 외에도 신시장 개척 중점 국가인 중동‧중남미‧인도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카자흐스탄‧필리핀‧몽골 등에 대한 수출은 전년 대비 16.4% 증가하였다. 이들 국가에는 한국 농식품 판매처가 많지 않아 소비자들이 접할 기회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소비자 체험 행사를 중점 추진하고, 유망 바이어를 발굴하여 우리 수출기업과 상담을 매칭하였다. ▲ 다변화 전략국(`24): 영국, 카자흐스탄, 필리핀, 호주, 캄보디아, 대만, 몽골 등 20개국 ▲ 3대 신시장‧다변화 전략국 수출: (`23) 2,235.1백만달러 → (`24) 2,602.1 (16.4%↑) 농산업 수출은 30.5억달러로, 수출액 비중이 큰 농기계와 스마트팜의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사료(펫푸드)․동물용의약품․농약 등 유망품목의 수출 증가로 전년 대비 감소폭은 2.4%에 그쳤다. 농약은 2024년 남미 및 동남아 권역에서 완제품 수출이 확대되며 61.7% 증가하였고 동물용의약품은 양계백신의 중동지역 수요가 늘며 9% 증가하였다. 반려동물사료는 2024년 신규사업을 통해 해외시장 조사, 해외 규격인증 취득, 상품 연구·개발 등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는데 힘입어 7.4% 증가하였다. ▲ 농약 수출액 : (’23) 499백만달러 → (‘24) 806.9 (61.7%↑) ▲ 동물용의약품 수출액 : (’23) 257.6백만달러 → (‘24) 280.9 (9.0%↑) ▲ 펫푸드 수출액 : (’23) 149.8백만달러 → (‘24) 160.9 (7.4%↑) 스마트팜은 전년도 대형수주(2023년 1.49억달러 중 79%)의 역기저효과로 수출·수주액은 감소하였으나 전년 대비 수주건수 및 진출국 증가로 수출 영토를 확장하는 성과가 있었으며, 해외 수주 건들이(166백만불) 최종 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고려하면 올해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 스마트팜 수출‧수주액: (`23) 296.4백만달러 → (`24) 240.8(잠정, △18.8%) ▲ 수주 건수: 63.6% 증가(11건 → 18건), 진출국 : (`23) 10개社, 9개국 → (`24) 13개社, 12개국 ▲ 스마트팜 수주는 양社 간 합의사항이 많은 턴키계약 특성상 지연 체결 사례多 농기계는 주요 수출시장인 북미 시장에서 코로나 시기 이후 수출이 둔화되었으나, 필리핀 현지에 한국 농기계 전용 공단 조성을 추진하는 등 수출 거점 구축을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 농기계 수출액: (`23) 1,529.4백만달러 → (`24) 1,202.4(잠정, △21.4%, 전체 수출액의 39.5%) ▲ 한-필리핀 농기계 전용공단 설립 MOU(`24.10월 체결) : 관세 및 지방세 면제, 기타 인센티브 제공 |
이 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기사 정부/국회 정책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