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10월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 112.4억불로 전년 대비 5.7% 증가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11-07 11:54
  • |
  • 수정 2025-11-07 11:55
글자크기

농식품 85.9억불, 농산업 26.4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7.8% 증가

라면조제품기타김치·포도, 동물용의약품·농약·비료·종자 등이 주요 성장 품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202510월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수출액(누적, 잠정)이 지난해보다 5.7% 증가한 112.4억불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케이-푸드 플러스(K-푸드+): 농식품(신선, 가공) + 농산업(동물용의약품, 농약, 비료, 종자 등)

** K-푸드+ 수출액: (’24.10) 10,637.2백만불 (‘25.10) 11,238.8(5.7%)

 

농식품(K-푸드)85.9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하였으며, 수출 증가율이 높은 권역은 중동(GCC, 20.4%), 유럽연합(EU+영국, 14.8%), 북미(13.9%) 순이었다.

* 농식품 전체 수출액(증가율): (’24) 8,183.2백만불 (‘25) 8,593.9(5.0%)

** 권역별 수출액(증가율): (GCC) 339.8백만불(20.4%), (EU) 643.1(14.8%), (북미) 1,675.0(13.9%)

 

7~10월 동안에는 미국 시장의 수출 성장세가 주춤(0.6%)하는 사이, 중동(23.5%)과 중화권(중국·홍콩·대만, 7.7%)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조제품 기타(19.4%), 포도(122.7%)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 7~10월 권역별 수출액(증가율): (미국) (’24) 570.6백만불 (‘25) 573.8(0.6%),(GCC) (’24) 127.3백만불 (‘25) 157.2(23.5%), (중화권) (’24) 786.7백만불 (‘25) 847.5(7.7%)

 

동기간(7~10)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주요 품목(3천만불 이상의 수출 실적)은 라면(21.7%), 조제품 기타(13.6%), 커피조제품(21.3%), 김치(6.4%), 포도(50.9%), 아이스크림(22.1%)이다.

 

* 7~10월 품목별 수출액(증가율): 라면 523.7백만불(21.7%), 조제품 기타 249.3(13.6%), 커피조제품 130.3(21.3%), 김치 54.1(6.4%), 포도 34.4(50.9%), 아이스크림 34.3(22.1%)

 

라면은 전 세계 매운 볶음면의 인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젊은층을 겨냥한 인기 K-콘텐츠 활용 마케팅과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장을 통해 중국, CIS, 일본, 미국 순으로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 라면 수출액(증가율): () 319.3백만불(54.4%), () 214.2(21.3), () 64.2(24.0), 아세안 186.5(14.4), (CIS) 67.0(43.8), (GCC) 38.8(18.8)

 

조제품 기타(건강기능식품 등)는 글로벌 웰빙 트렌드와 함께 이너뷰티 제품 등 K-건강기능식품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 및 평가가 확산되면서 수출이 증가했다.

 

* 조제품 기타 수출액(증가율): () 185.0백만불(17.7%), () 60.1(19.4), (CIS) 39.2(16.9), (EU) 24.4(48.5)

 

커피조제품스틱형, RTD(Ready to Drink)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며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고급 원두를 사용한 프리미엄 커피와 설탕 함량을 줄인 건강 지향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커피조제품 수출액(증가율): () 26.4백만불(0.7%), () 15.2(8.4), (EU) 7.5(63.1)

 

김치는 주요 수출국인 일본으로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3.7%) 대비 소폭 증가(1.9%p)하였고, 캐나다·대만의 수출 성장률이 높았다. 이는 건강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산 김치가 우수한 발효식품이라는 인식이 지속 확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김치 수출액(증가율): () 47.5백만불(4.4%), 캐나다 7.6(17.6), 대만 4.9(11.8)

 

포도는 생산량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24년도에 새롭게 도입한 대만 수출용 포도 사전등록제(ID)’의 안정적인 정착으로 대만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 포도 수출액(증가율): 대만 23.4백만불(192.1%), () 6.0(21.1), (GCC) 0.6(47.5)

 

아이스크림은 하절기 냉동 디저트 수요 증가와 K-푸드 브랜드 강세 덕분에 대형 유통매장 입점 등 현지 유통망 진출이 이루어졌다. 특히, 미국·캐나다·유럽을 중심으로 저지방·식물성 아이스크림의 수출이 증가하였다.

 

* 아이스크림 수출액(증가율): () 31.5백만불(13.0%), 캐나다 8.0(43.3), () 6.5(8.8), (EU) 2.7(62.3), (GCC) 3.1(32.7)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