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외국인 근로자 허용 업종에 음식점업 신설 [한국농어민뉴스] 산출량 중심의 어업관리체계 구축 [한국농어민뉴스] 서산 국지도70호 포장 정비 ‘완료’ [한국농어민뉴스] ‘2024 연구소기업 글로벌 트렌드 세미나 개최 [한국농어민뉴스] ‘임산물 글로벌 특화시설 확충사업’ ㈜함양산양삼 선정 [한국농어민뉴스] 농촌에서 살아보고, 귀농·귀촌까지 - 도내 중소/중견 기업을 위한 포괄적인 확장현실(XR) 산업 지원망 구축 - 증강현실 투어, 기업간 정보교류회 등 확장현실기술 확산 위한 노력 경기도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확장현실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XR광학거점센터’가 24일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에서 문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개소식은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와 최대호 안양시장, 강득구·이재정 국회의원, 신용진 한국광기술원장을 비롯해 김장선 경기 - 주요 정책 및 최신 기술동향 발표와 토론- 사업화 성공사례 공유 등 네트워킹 기회 마련 경기도는 오는 29일 수원컨벤션센터 컨벤션홀에서 ‘제5회 광교 바이오헬스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미래성장산업 선도를 위해 산학연관 혁신 역량을 결집시키고자 구성된 경기도 산학협력 얼라이언스(GAIA)와 연계해 추진하는 정례 교류회(GAIA-day) 성격도 가지고 있다. 가이아(GAIA)는 ‘Gyeonggi Acade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항균 기능이 우수한 항생제 소재를 발굴하여 무상분양 추진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해양생명자원에서 항균 기능이 우수한 항생제 소재를 발굴하여 해양바이오은행(뱅크)을 새롭게 구축하고, 11월 27일(월)부터 상용화를 위한 무상분양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유용한 소재를 발굴하여 기업 등에게 제공하는 소재은행으로서 추출물(‘18)·유전자원(’19)·미생물( 한국 국제 베이커리쇼 코엑스...가루쌀 소비 활성화 지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 제과업계의 가루쌀 소비 확산을 위해 국내 최대규모의 제과·제빵 전문 전시회인 「한국국제베이커리쇼」(11.22~25., 코엑스)와 연계하여 제과·제빵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가루쌀 제과·제빵 경진대회」, 「가루쌀빵 기술이전세미나」, 「가루쌀빵집관」(반짝매장+홍보관)을 개최한다. 가루쌀 제과·제빵 경진대회(11.23.,금)에서는 밀가루를 치유농장주 대상 프로그램 개발·실습 교육 추진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27일 도내 치유농장주 20여 명을 대상으로 체계화된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치유농업프로그램 개발·실습 교육’을 마쳤다. 이번 교육은 지난 20일과 이날 2회에 걸쳐 진행했으며,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활용한 ‘치유중재기법’ 교육과 참여 농장별 ‘치유자원 분석을 통한 개별 컨설팅’ 등을 실시했다. 교육 과정 중 치유중재기법은 치유 - ‘한‧세계화상비즈니스위크’ 참가…경상남도 투자유치 홍보부스 운영- 남해안 관광 집중 홍보 및 화상 대상 남해안 투자유치 팸투어 진행 경남투자경제진흥원(대표 오재호)은 22일부터 25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와 창원시 일원에서 개최된 2023 한‧세계화상비즈니스위크(이하 ‘세계화상대회’)에 참가해, 세계 화상들의 거대 자본을 경남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전방위 투자유치 활동을 펼쳤다. 경상남도 투자유치 전담기관으로 설립된 쪽파 재배농가 위한 병해 진단·방제법 제시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도내 쪽파 농가가 농업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쪽파 병해 현장 진단 매뉴얼(지침)’을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국내 쪽파에는 세균병 1종, 바이러스 2종의 병해만 보고돼 있어 농업 현장에서 병해 진단을 위한 활용 정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병 발생 다양화와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시 중장년의 지식‧경험‧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전시회 개최 경기도가 12월 15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옛 경기도청사에서 베이비부머(중장년) 세대가 모여 지식․경험 등을 공유하는 ‘경기인생캠퍼스’ 참여자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도는 지난 10월부터 베이비부머(중장년)의 지식·경험 공간을 제공하는 경기인생캠퍼스를 옛 경기도청사와 수원시 서둔로에 위치한 경기상상캠퍼스 등 2곳에서 운영했다. 이곳에서 참여자들은 <<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