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충남형 스마트팜 심포지엄’ 개최 [한국농어민뉴스] 내포문화숲길서 몸·마음 쉰다 [한국농어민뉴스] ‘기회 바우처’ 확대 개편. 수출기업 150곳에 마케팅 등 지원 [한국농어민뉴스] 청년어업인에게 어선 임차료(50%)와 교육 등 지원 [한국농어민뉴스] ‘부울경 경제동맹’ 통해 부울경 메가시티 실현 [한국농어민뉴스] 산업단지 RE100’ 참여기업 인센티브 제공 첫 체류형 심화 기술교육 실시…인공종자생산 및 캐비어 가공 등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민물고기센터는 도내 어업인과 귀어인에게 20여년 간 축적해 온 전국 최고 수준의 철갑상어 양식 관련 기술을 이전한다고 20일 밝혔다. 민물고기센터는 양식기술 이전을 위해 올해 신규 사업으로 체류형 심화 기술교육을 마련, 귀어학교 10기 졸업생 중 철갑상어 양식에 나서는 교육생 1명을 대상으로 다음달 23일까지 진행한다. 아밀로스함량 낮아 밥이 찰지고 도열병에 강해 재배 안정성 높아 충남도 농업기술원(원장 김영)은 초조생종 저아밀로스 벼 신품종 ‘빠르미2’와 ‘빠르미향’을 개발,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빠르미2와 빠르미향 등은 빠르미와 출수기가 비슷하지만, 아밀로스함량이 11.6%와 12.7%로 적어 밥이 찰지고 맛이 좋다. 또 도열병에 강해 재배 안정성이 높고, 빠르미와 마찬가지로 논에서 -60명의 작가가 10년간 나무를 깎고 만든 노아의 방주- 대 장정의 구원 展 : [노아의 방주 : 새로 밟는 땅] 60명의 작가가 10년간 나무를 깎고 만든 노아의 방주를 비롯한 노아 시대의 모든 동·식물,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을 60분 1축척 “노아의 방주(새로 밟는 땅)라는 제목으로 오는 3월 20일 부어 5월 24일 75일간 한국 최초 [노아의 방주] 전시가 대전 엑스포 남문 시민광장 미디어규브동 2층 3층에서 전 - 도내 항노화기업 관계자 대상 4월~11월까지 4개 교육과정 운영- HACCP 팀장 기본 과정 3월 19일부터 선착순 모집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원장 한기민)은 도내 항노화기업 직원의 직무능력 향상과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4년 항노화기업 교육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도내 항노화기업 관계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오는 4월부터 11월까지 HACCP(4월), 홍보·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 사업 참여자·참여기관모집 경기도가 경험·지식을 보유한 신중년의 사회공헌활동 참여를 돕는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와 참여기관을 연중 모집한다. 2015년부터 진행 중인 이번 사업의 참여자격은 경기도 내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70세 미만의 3년 이상 경력이나 공인자격을 지닌 베이비부머(중장년)이다. 약 990명을 모집해 지원한다. 참여기관 자격 요건은 비영리법인/단체, (예 자립 준비 청년 임대 보증금 전액 지원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경기주택도시공사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는 자립준비청년의 임대보증금 전액(도비 100%)을 지원하는 ‘자립준비청년 주거비 지원사업’을 올 하반기 추진한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복지시설, 그룹홈(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 이상이 되면 홀로서기에 나서는 청년을 의미하며, 경기도에서만 매년 약 260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는 임대보 EBS와 협업. 5월부터 시작. 올해 4천명 대상 경기도가 청소년들의 교육격차 완화와 고른 학습 기회 제공을 목표로 새로운 온라인 학습 지원 정책인 ‘1318온코칭’ 학습자를 모집한다. 경기도는 최근 EBS 한국교육방송공사를 운영기관으로 선정하고, 18일부터 학생 모집을 시작으로 5월에 본격 학습코칭을 지원할 예정이다. ‘1318온코칭’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학생이나 동일연령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 수준에 이상기상 대응 현장 기술 지원 ‘총력’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8일 평년보다 높은 평균기온과 적은 일조 시간으로 과수·시설원예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피해 예방을 위한 농가의 관심과 실천을 부탁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1∼3월 기상 현황은 평균기온 2℃로 평년보다 2℃ 높고 일조시수는 336.6시간으로 평년보다 46시간이 적어 과수 저온 피해와 시설원예 일조 부족 피해 등이 우려된다. 꽃의 만개 시기가 배의 <<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