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한국농어민뉴스] 명사십리 해수욕장 모래 위에 '모래조각' 작품 눈길... [한국농어민뉴스] 매실 저온 피해 농작물 재해보험금 지급 [한국농어민뉴스] 유기농 명인 후보자 모집... 31일까지 접수 [한국농어민뉴스] 여수·순천~서울 수서 SRT 9월부터 운행한다 [한국농어민뉴스] 전남 귀어학교, 교육생 25일까지 모집 [한국농어민뉴스] ’23년도 농식품·수산분야 하반기 대학 장학생 2천명 선발, 69억 5천만 원 지원 - 아시아 최초 신지 명사십리 5년 연속·우수 해수욕장 인증- 보길 예송 3년 연속, 청산 신흥 파일럿 인증 완도군이 지난 4일 환경교육재단(FEE)으로부터 신지 명사십리 해수욕장과 보길 예송 해수욕장, 청산 신흥 해수욕장에 대한 ‘블루플래그’ 인증서를 전달받았다. 이날 전달식에는 환경교육재단 국제본부 CEO인 다니엘 쉐퍼가 직접 참석하여 신우철 완도군수에게 ‘블루플래그’ 인증서와 깃발을 전달했다. ‘블루플래 무안 은혜양파, 기능성 강화를 통한 브랜드화 우리나라 양파의 주산지 중 최고로 손꼽히는 무안양파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농법을 도입하여 면역기능 개선과 생리활성작용을 도와주는 각종 미네랄 성분과 항산화 성분이 향상된 기능성 양파를 개발한 농장이 있다. 전남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에서 양파 농사와 양파즙 생산을 전업으로 하는 김복남(59세)·김은옥(59세) 부부와 아들 김주성(29세) 씨가 운영하는 은혜농장이다. 약 체리와 쌀로 100일간 저온 숙성해 빚은 한국형 스파클링 와인 전라남도가 8월 대표 남도 전통주로 곡성 시향가에서 체리와 분질미로 100일간 저온 숙성해 빚은 한국형 스파클링 와인 ‘선셋 체리 스파클링’을 선정했다. 스파클링 와인은 탄산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셋 체리 스파클링은 양숙희 시향가 대표가 퇴근길 바라본 붉은 노을에서 영감을 얻어 여름철 인기 과일 체리를 접목한 약주다. 국내 체리 생산량 2위인 곡성의 강진군,인구 늘리기 사업 관련 조례 제정 · 공포 강진군은 지난 7월 26일, 신규 전입자와 귀농·귀촌임을 유입하기 위한 ‘강진군 주택 신축 지원 조례’가 제정 · 공포됨에 따라, 인구 늘리기 사업에 본격 돌입한다. 군은 조례에 근거해, 민선 8기 비전인 인구 5만 달성을 위한 ‘강진군 주택 신축 지원사업’ 세부 계획을 수립했다. 지원사업은 주택을 신축하고자 하는 5년 이내 신규 전입자가 모든 행정절차를 예스마트 삿포로점 운영...전남 먹거리 수출 기반 확대 전라남도는 일본 삿포로의 한국식품 대표 마켓인 예스마트(대표 장영식)에 전남산 농수산식품 상설판매장을 개장,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로써 전남은 9개 국가에 25곳의 상설판매장을 운영, 전남산 농수산식품의 안정적 수출 전진기지를 구축했다. 전남도는 2017년부터 한국 농수산식품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유럽의 현지 마켓과 전남도, 국가 첨단 의료 기반산업 육성 날개 전라남도는 심뇌혈관질환 지휘본부인 1천억 원 규모의 국립심뇌혈관연구소 장성 설립이 확정돼 충북 오송 생명과학단지,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와 함께 국가 보건의료 기반산업의 3대 축을 완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심혈관질환은 중풍,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등으로 전세계 사망원인 1위다. 국내에선 암에 이어 심장질환이 2위, 뇌혈관질환이 4위를 차지하면서 고령화로 2015년 9월 해남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역할·방향 모색 전라남도는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고 대한민국 친환경농업의 비전을 제시하는 ‘2023 한국친환경농업인 전국대회’를 9월 8일부터 2일간 해남 우슬체육공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한국친환경농업협회(회장 강용)와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주형로)에서 공동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남도, 해남군이 후원한다. ‘대한민국 친환경농업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차관과 다양한 분야 지속 교류 논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7일 도청에서 퐁싸이삭 인타랏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차관을 만나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파견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은 수확기 등 일손이 필요한 농번기에 외국인 근로자를 최대 8개월간 고용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그동안 전남도는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 개선을 위해 이들의 체류 기간을 10개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