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한국농어민뉴스] 김영록 지사, 덴마크 오덴세항에서 목포신항 활성화 구상 [한국농어민뉴스] 전복·넙치 최적 양식조건 찾는다 [한국농어민뉴스] 완도군, 귀농귀어 희망학교 ‘귀농귀촌 교육생 모집’ [한국농어민뉴스] 제59차 시도지사협의회에서 지방분권·균형발전 토론 [한국농어민뉴스] 전국 수산인 한마당 완도서 열려 [한국농어민뉴스] ‘청정전남 으뜸마을’ 만들기 내실 다진다 미디어 시대에 맞는 온라인 상품화 기술지원으로 치유농업 활력 제고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최준열 원장)은 오는 4월 16일(화)부터 5월 14일(화)까지 매주 1회, 총 4회에 걸쳐 2022년과 2023년에 운영한 ‘치유농업 운영자 역량강화 교육’ 수료생을 대상으로 ‘치유농장 운영자 SNS 활용 마케팅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과정은 기존에 ‘치유농업 운영자 역량강화 교육’을 받은 교육생들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치 다문화가족 출신 도청 공무원 ‘찾아가는 상담서비스’ 등 추진 전라남도가 정주인구 및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찾아가는 상담서비스 추진 등 촘촘한 다문화복지를 실현, 결혼이주여성 정착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전남의 다문화가정 가구 수는 1만 5천666세대(전국대비 3.9%·8위), 가구원 수는 5만 1천131명(도내 인구 2.8%)으로 전국의 약 4.4%를 차지, 7번째로 많다. 다문화 여성도 결혼이민자와 귀화자 등을 포함 역량 강화·마케팅·상품화 등 조직당 최대 2천만원 지원 전라남도는 전략품목 생산유통 통합조직의 안정적 물량 확보와 취급량 확대를 위해 공동선별출하 생산자조직 육성사업을 도입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4억 원이다. 조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상품화 비용으로 생산자조직당 최대 2천만 원을 지원한다. 대상 조직은 시군 조공법인, 지역농협에 속한 26개 공선출하회다. 자격 요건은 전년 출하금액이 5억 원 이 - 사업비 40억 원 투입, 3만 1천658ha에 361톤 공급- 제초제 역할 대신…영농비용 절감·노동력 해결 기대 전라남도는 벼 재배 농업인을 대상으로 논 잡초 제거를 위해 사업비 40억 원을 투입, 총 3만 1천658ha에 왕우렁이 361톤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왕우렁이 농법은 대표적 친환경농법 중 하나다. 이앙 후 5일 또는 써레질 후 7일 이내 논 10a당 1.2kg의 왕우렁이를 투입하면 제초제 사용의 98 전남도, 개보수·장비 구입 등 사업 19일까지 시군서 접수 전라남도는 노후 퇴비 생산시설 개·보수를 통해 우량 퇴비를 생산·공급하기 위한 2025년 친환경퇴비 생산시설 현대화사업을 오는 19일까지 신청받는다고 밝혔다. 친환경퇴비 생산시설 현대화사업은 전국 2개소에 5억 원을 투입해 친환경 퇴비 생산시설 및 제품생산·관리 장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개소당 지원 한도는 2억 5천만 원이다. 재원별 비율은 국비 6개 중기, 현지 바이어와 수출상담서 70만달러 업무협약 전라남도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광주전남지원단(KOTRA)과 함께 지난 5일까지 5일간 태국 방콕, 인도 뉴델리에서 수출상담회를 개최, 1천753만 달러 수출 상담과 70만 달러의 업무협약(MOU)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시장개척단은 주요국 긴축재정에 따른 고물가, 고금리 등 국제적 경기침체 위기에서 전남 기업 수출 확대와 신시장 개척을 위해 김, 스낵, 나주서 11일 1차 무역아카데미…중기·예비 창업자 등 대상 전라남도와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챗지피티,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해 세계 디지털 트렌드를 선도하는 2024년 무역아카데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임직원, 예비 창업자 등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챗지피티와 빙(BING) 검색엔진을 활용한 해외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 과정을 시작으로, 식품 수출입의 모든 것(A to Z), 2024 글로벌 식품 - 올해부터 높이 알 수 있는 수치표고 모형도 공개- 공간정보플랫폼·공간정보 참여마당서 이용 가능 전라남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촬영 제작한 항공사진과 1천분의 1 수치지형도 및 5천분의 1 국가기본도를 공급받아, 최신 공간정보를 무상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4년 전남도와 국토지리정보원 간 업무협약에 따른 것이다. 매년 전남 전역을 촬영해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는 높이를 알 수 있는 수치표고 모형까지도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