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논 말리기 등 왕우렁이 월동피해 최소화 온힘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1-31 09:07
  • |
  • 수정 2025-01-31 09:08
글자크기

월동작물 재배·2월까지 10개 시군 16ha 깊이갈이 추진

 

전라남도는 올해 왕우렁이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월동작물 재배, 깊이갈이를 통한 논 말리기, 모니터링 등 선제적으로 왕우렁이 월동피해 예방 대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따뜻한 겨울 날씨와 잦은 비로 해남, 진도 등 일부 시군에서 왕우렁이가 죽지 않고 월동(생존)해 모내기한 모를 갉아먹는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연도별 피해면적 : ’20) 660ha’21) 33’22) 3.1’23)3.1’24) 1,593

 

이번 예방 대책은 왕우렁이가 겨울철 논에 물이 없거나 영하 이하의 낮은 기온에 외부로 노출되면 죽는 특성을 이용해 월동작물 재배와 논 깊이갈이 등 100% 논 말리기를 통해 개체수를 줄이는 것에 중점을 뒀다.

 

중점 추진 기간은 2월까지다. 대상은 해남 등 전남 서남부 10개 시군의 친환경 벼 재배단지 전체와 일반 벼 재배지역 중 피해가 우려되는 간척지 등 15943ha.

 

단지·지구별로 담당자 지정과 단지별 공동 작업단도 운영하고, 통상 3~4월에 하는 논갈이를 농한기를 이용해 앞당겨 실시하기 캠페인도 벌인다.

 

왕우렁이 월동과 피해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전남도농업기술원은 조사 지침을 만들고, 지역별 모니터링반(22)을 구성해, 3월부터 월동 실태와 피해 발생 시 유입경로 등에 대한 체계적 조사와 퇴치 기술도 연구한다.

 

여기에 왕우렁이 사용·관리 영농 교육, 단지·지구 인근 마을별 순회교육, ‘논 깊이갈이 앞당겨 실시하기마을방송 등 홍보도 강화한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왕우렁이 월동피해 예방은 겨울철 월동작물 재배와 논 깊이갈이를 통한 논 말리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간척지와 저지대 농경지에서 벼를 재배하는 농가는 왕우렁이 피해와 병해충 예방을 위해 꼭 논 깊이갈이를 앞당겨줄 것을 당부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정숙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