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약용작물 ‘지황’ 이제 기계로 심어요, 현장서 첫선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4-27 11:06
  • |
  • 수정 2025-04-27 11:13
글자크기

430일 정읍에서 기계 아주심기 현장 적용 평가회

씨뿌리 대신 모종, 인력 대신 기계 적용내년 현장 적용 계획

 

우리나라 주요 약용작물 중 하나인 지황*은 경옥고, 쌍화탕의 주원료로, 재배면적이 100헥타르(ha), 한 해 생산량이 622(2023년 기준)에 달한다.

* 혈당 저하, 혈관 확장, 수축 등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음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지황 재배 과정 중 노동력과 시간이 가장 많이 드는 아주심기(정식)를 기계화하기 위해 4 30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황 재배 농가에서 기계화 기술 현장 적용 평가회를 연다.

 

이번 평가회에는 지황 재배 농가, 관련 연구진, 지자체 담당자, 아주심기 기기(정식기) 생산업체 등 약 30명이 참여해 지황 모종을 기계로 심는 기술 시연을 참관하고, 실용성과 경제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지황은 본밭에 씨뿌리(종근) 하나하나를 손으로 심어 키우는데, 작업이 고되고 싹 트는 비율(출아율)70% 이하로 낮다. 지황 재배 과정 밭 갈기와 수확 작업을 기계화하고 있지만, 파종과 아주심기 단계의 기계화는 그간 진척이 없었다.

 

농촌진흥청은 기계 아주심기(정식)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도록 지황 육묘 격을 확립하고, 표준 모종판*과 상토 비율을 설정하는 공정육묘** 시스템을 개발했다.

* 128공 육묘 트레이(가로 3cm, 세로 3cm, 깊이 4cm)

** 공정육묘: 표준화된 조건에서 균일한 크기와 품질의 모종을 생산하는 체계적인 과정


 

씨뿌리(종근) 규격은 길이 2cm, 굵기 1.0cm 이하로 설정했으며, 씨뿌리와 흙이 잘 결합하도록 상토 비율은 일반 상토 5대 버미큘라이트* 5로 정했다.

*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질석): 운모로 이루어진 무기질 광물로 수분 보유와 통기성이 우수하여 원예용 상토로 활용

 

아울러, 전문 농기계 제조업체(대신에이씨엠)와 협력해 지황 모종에 가장 알맞은 반자동 방식의 아주심기용 기계도 개발했다. 작업자가 기계에 모종을 넣어주면 밭에 자동으로 구멍을 뚫고 모종을 심는 구조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작업 속도는 3.6 빨라지고, 노동력은 50% 절감되며, 경제성은 40~50%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

 

농촌진흥청은 이번 평가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해 올해 말까지 최적의 모종 생산, 아주심기 기계화 성공 모형(모델)을 개발하고, 2026년부터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재배과 윤영호 과장은 지황 아주심기 기계화 기술은 농가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인력과 기계를 활용했을 때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개선 사항을 수렴해 지황 농가에 보탬이 되는 기기를 보급하겠다.”라고 말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