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한국농어민뉴스] 영암 국제자동차경주장서 캠핑관광 박람회 [한국농어민뉴스] 유기농업자재 지원으로 친환경농업 실천 강화 [한국농어민뉴스] ‘한복문화 창작소’ 보성에 조성한다 [한국농어민뉴스] 다산박물관, 다산 정약용 선생 포토존 설치 [한국농어민뉴스] 5월의 친환경 농산물에 보성 유기농 녹차 [한국농어민뉴스] 도시숲 조성으로 환경문제·산림복지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전남도, 건의 반영돼 13일까지 정밀조사 나서기로 전라남도는 잦은 강우와 일조량 감소 등에 따른 마늘 2차생장(벌마늘) 피해와 매실 저온피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에 농업재해 인정을 건의한 것이 반영돼 오는 13일까지 피해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2~3월 평년보다 49% 늘어난 잦은 강우, 평년보다 24% 줄어든 일조량 부족 등으로 마늘 2차 생장 발생률이 평년(2% 내외)보다 높은 30~40%정도가 - 전북농업기술원, 전주정원산업박람회 화훼 육성품종 전시 및 평가- 나리 증식과정 소개, 한지꽃과 나리꽃의 전통 정원 조성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은‘제4회 전주정원산업박람회 전시 참여로 전북도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화훼품종 알리기와 신품종 선발을 위한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제4회 전주정원산업박람회는 ‘나의 정원, 나의 도시, 우리의 내일’이라는 주제로 5월 2일부터 6일까지 전 다시마 침출 공법으로 끝맛 부드러워, 완도 다시마 홍보 효과 톡톡 완도군은(군수 신우철) 5월 3일 지역 향토기업인 보해양조(대표이사 임지선)와 세계 최초로 다시마 소주(다시, 마주) 출시에 따른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 협약식은 완도군청에서 진행됐으며, 신우철 완도군수와 보해양조 서용민 전무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했다. 완도군은 다시마를 전국 대비 70% 이상 생산하는 다시마의 주산지로 군에서는 지 지역 여건 맞는 재배기술 터득해 주변 임업인에게도 전수 전라남도는 5월 ‘이달의 임업인’으로 지리산 자락에서 친환경 고사리를 재배하는 손영채(61) 임업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손영채 임업인은 2001년 임업후계자로 등록해 구례군 토지면 일원 3만제곱미터 부지에 친환경 고사리를 재배하고 있으며, 매년 3천㎏을 생산하고 있다. 2001년 고사리 재배를 시작으로 24년 동안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지리산 자락 여건 24일까지 시군서 접수…최대 5억 시설·장비 지원 전라남도는 친환경농산물 전문 생산·가공·유통 기반 확충을 위해 ‘2025년 친환경농산물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 사업 대상자를 오는 24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사업은 일반 농산물과 별도로 취급해야 하는 친환경농산물의 특수성을 반영, 생산부터 유통까지 아우르는 친환경농산물 전용 시설 현대화를 통해 선진 공급 체계를 구축하는 매일 4회 운영, 1회 90명 입장 “40분 동안 짜릿한 손맛을 느껴보세요!” 지난해 1,400명이 참여할 정도로 ‘완도 장보고 수산물 축제’의 최고 인기 프로그램이었던 ‘전통 대나무 바다낚시 체험’이 올해도 진행된다. ‘전통 대나무 바다낚시 체험’은 축제 기간(5.3~5.6.) 중 매일 4회(10시, 12시, 14시, 16시) 실시되며, 1회에 90명까지만 입장 가능하다. 40분 동안 낚시를 할 수 있 신속한 피해 조사와 저품위 마늘 정부 수매 등 대책 요청 전라남도는 잦은 강우와 일조량 감소 등에 따른 마늘 2차 생장(벌마늘)을 재해로 인정해 피해 조사에 나설 수 있게 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2차 생장은 마늘 알맹이 하나하나에 잎이 올라오는 피해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간 주요 시군 평균 강수량은 평년(73㎜)보다 49% 증가한 110㎜, 일조 시간은 평년(183시간)보다 6월14일까지 모든 공직자 참여…농협 등 유관기관에도 요청 전라남도가 마늘·양파 수확 등 본격 영농철을 맞아 5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를 ‘농촌일손돕기 중점기간’으로 정하고, 일손 부족으로 어려운 농가를 대상으로 봄철 농촌일손돕기를 추진한다. 전남도는 일손돕기 중점 기간 도 실·국·원, 시군 등 부서별로 전 직원이 1회 이상 농촌일손돕기에 참여토록 했다. 또 농협 등 유관기관에도 농촌일손돕기에 적극 참여해줄 것을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