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한국농어민뉴스] 먹거리 풍성한 전남, 전통시장 6월 추천관광지로 선정 [한국농어민뉴스] 유기농데이 대축제서 8천500만원 판매 성과 [한국농어민뉴스] 담양에 한우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한국농어민뉴스] 해상가두리 이동진료소 운영 [한국농어민뉴스] 2025년 가루쌀 전문 생산단지 육성사업 참여 농업경영체 모집 [한국농어민뉴스] 민간정원 27호‘우림원’ 여는 날 행사 -바다의 날…영광 송이도에 참조기·부세 종자 20만마리 방류- 섬진강에 대표적 모천 회귀성 어종 어린황어 30만 마리도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수산 자원 조성·회복 및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참조기, 부세 종자와 어린 황어를 30일 방류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1996년 제정된 법정 기념일인 바다의 날(5월 31일)을 기념하기 위해 이날 영광지역 특산 어종인 참조기·부세 종자 20만 마리를 영광 송이도 해역에 기본계획 수립 완료, 둘레길·사계절 허브 정원·명상 공간 등 조성 완도군이 보길 예작도를 명소화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해 노화(보길), 소안을 다니는 야간 여객선 운항이 시작되고, 예작교(해상 인도교)가 준공되면서 보길 예작도를 관광객이 늘고 있다. 이에 군은 예작도의 돌담길 등 예스러움과 천혜의 자연환경,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관광객이 체감할 수 있도록 ‘예작도 관광 명소화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지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서 과수·채소 확대 방안 등 논의 전라남도는 29일 화순군청에서 도, 시군 친환경농업 담당 공무원, 도 협회 및 시군 친환경농업협회장 등 6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어 과수·채소 품목 다양화 방안을 논의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는 올해 전남도 중점 추진 방향인 유기농 중심의 품목 다양화와 소비자 신뢰도 제고를 위한 친환경농산물 안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농 씨 없는 수박 재배동향 파악 및 현장애로 청취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은 지난 5월 27일에 씨 없는 수박을 생산하고 있는 정읍지역을 방문하여 현장 행정을 추진하였다. 이번 현장행정에서는 씨 없는 수박 생산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재배동향을 파악하고 재배농업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정읍지역에서 재배된 씨 없는 수박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불임꽃가루를 이용해 생산되고 있다. 당도는 11∼13 6월 20일까지 온라인 접수…이론·실습 등 20개월 과정 전라남도는 미래 첨단농업을 이끌 청년 인력 양성을 위해 고흥 스마트팜혁신밸리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교육생 모집을 위해 오는 28일 오후 2시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 지원센터(고흥군 도덕면 스마트팜길 74)에서 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창업 교육은 전액 국비로 전액 지원된다. 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이 스마트팜을 산업부 공모 선정…안전성·활용도 증대로 항공산업 발전 기대 전라남도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항공 분야) ‘비행성능시험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과제 공모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전남도는 최근 ‘친환경 항공기용 전기추진시스템 평가기반 구축’ 사업에 이어 이번 공모사업까지 항공 분야 2개 사업이 선정돼 항공산업의 최적지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주관하는 이 - 폐교 활용 체류형 복합문화공간…생활 인구 유입 등 기대- 전남도, 2028년까지 22개 전략사업으로 균형발전시대 실현 전라남도는 ‘전남형 지역성장 전략사업’ 가운데 가장 먼저 ‘곡성 스테이션 1928’ 준공식을 27일 개최했다. 전남형 지역성장 전략사업은 그동안 중앙 공모에만 의존했던 지역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시군이 주도적으로 지역 특화 자원을 활용해 지속가능성이 큰 사업을 발굴하면 전남도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 - 전북농업기술원장, 엉겅퀴 재배단지 및 가공업체 방문- 기능성분이 강화된 엉겅퀴 품종육성으로 지역특화작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은 23일 임실지역 특화작목인 「엉겅퀴」 생산단지를 찾아 재배농업인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현장행정을 추진하였다. 이번 현장행정은 엉겅퀴 수요 증가에 따라, 재배현장을 둘러보고 농업기술원이 제공할 수 있는 기술 지원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