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시설상추를 위협하는 병해, 예방이 필수
시설내 고온다습, 환기불량은 병원균과 해충의 번식 촉진 시설상추 대표 병해 시들음병, 잿빛곰팡이병 관리 필요 최근 잦은 강우로 인하여 시설재배 상추에서 시들음병, 잿빛곰팡이병 등 병해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은 철저한 병해충 관리를 당부하였다. 상추 시설재배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여 안정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지만 고온다습하거나 환기가 불량한 시설 환경은 병원균과 해충의 번식을 촉진하여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시설 상추에서 대표적인 병해로는 시들음병과 잿빛곰팡이병이 있다. 시들음병은 주로 아래 잎부터 누렇게 변하고 시들기 시작하며, 결국 포기 전체가 말라 죽는다. 줄기 내부의 유관속이 갈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이 있고, 토양 전염성 병해로 연작으로 인해 토양 내 병원균 밀도가 높아질 때 발생이 심해지며 고온기에 특히 피해가 크다.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면 잎과 줄기에 잿빛곰팡이 포자가 형성되며, 심하면 포기 전체가 물러 썩는다.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되기 쉬워 시설 내의 환기를 철저히 하고 병든 잎을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추는 생으로 섭취하므로 농약 사용에 부담이 커,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연작을 피하고, 정식 전 토양 소독을 실시하여 토양 내 병원균 밀도를 낮춘다.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농약과 미생물제 등 친환경적인 병해충 방제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최소라 농업환경과장은 “시설재배 상추는 맛과 안정성 뿐만 아니라 뛰어난 건강 기능성까지 갖추고 있어 상추로 가족들의 건강을 챙겨보시기 바란다”며 “시설 상추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발생모니터링을 통해 방제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며 적기에 방제할 수 있도록 포장을 잘 살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 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