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온도 영하권으로 ‘뚝’ 농작물 안정생육 점검 서둘러서 피해 줄이세요
|
다음주 화요일 영하권 날씨로 농작물 겨울철 관리 당부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초겨울로 접어드는 다음주는 영하권의 날씨로 사전 관리가 필요한데,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에서는 겨울철에 발생하는 농업재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분야별 관리 방안을 주문하였다. 보리, 밀 등 동계작물은 흙 속에 물기가 많을 때 나타나는 습해를 입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동계작물이 자라는 논은 눈이나 비가 내렸을 때 물이 고이지 않도록 물길을 정돈해야 한다. 또한 작물이 뿌리를 내린 곳을 살펴보아 빈틈이 보일 때에는 곱게 부순 흙을 넣어 채우고, 서릿발에 뿌리가 들뜨지 않도록 땅 밟기를 한다. 마늘과 양파는 대표적인 월동작물로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도록 흙 속에 적당한 물기를 머금게 관리해 주며, 서릿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솟구쳐 올라온 작물은 잘 눌러주고, 뿌리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준다. 과수의 경우 동해를 입지 않도록 원줄기에 흰색 페인트를 발라주거나 반사필름, 두꺼운 부직포 등으로 싸매주고, 과수원 안에 냉기류가 멈춰있게 되면 나무에 언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과수원 안쪽에서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은 없애준다. 시설하우스는 눈이 많이 올 때를 대비하여 보조지지대(보강지주)를 설치하고 강한 바람으로 비닐이 펄럭이지 않도록 고정끈(하우스 밴드)을 묶어 주며, 2~6미터 간격으로 보조지지대를 설치해야 한다. 그 외 시설하우스 위에 덮은 보온덮개나 빛가림망은 눈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걷어둔다.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시설하우스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고 환풍기를 돌려 시설하우스의 파이프 골조와 비닐을 최대한 밀착시킨다.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윤대순 기술보급과장은 “겨울철 한파와 폭설 등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안정생육관리를 위해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긴밀한 재해대응상황관리를 유지하고, 피해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를 철저히 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 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기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