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텃밭으로 활력을” 도시농업 새 모형 '다모이길' 익산에 조성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7-12 10:44
  • |
  • 수정 2025-07-12 10:52
글자크기

농촌진흥청, 중소도시 활성화공공서비스디자인 과제 추진

주민과 텃밭, 골목 꾸미고 도시농업 활동도공간 개선, 공동체 회복 기대

 

도시농업이 중소도시 공간 개선과 공동체 회복 매개체로 주목받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처음 익산에 조성한 도시농업 새 모형 다모이길이 관심을 끌고 있다.

 

다모이길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주민이 다 모이길 바라는 공간이라는 뜻을 담아 주민 소통 거점 공간인 다모임 텃밭과 이를 연결하는 골목길 다모이길을 조성했다.

* 공공서비스디자인: 주민, 행정기관,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발굴·개선하는 정책 모델

 

 

도시농업(식물, 공간)을 매개로 지역 주민이 주체가 돼 마을을 활력 넘치고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지난 3월 도시농업관리사, 익산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세대별 주민 등 9개 기관 14명과 공공서비스디자인단을 구성했다. 디자인단은 인구 감소 관심 지역인 익산시 송학동 지역 주민과 고현로5, 1 주변에 제1다모임 텃밭다모이길을 조성하고 이달 초까지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다모임 텃밭에서는 가지, 고구마 등 텃밭 식물 심기 지역 어린이 대상 나만의 물뿌리개 만들기 고령층과 청년층의 벽걸이 화분 심기 벽걸이 화분 나눔 음악회 도라지꽃 활용 꽃다발 만들기 등 도시농업 활동을 펼쳤다. 이와 함께 골목길 방치된 빈집 담장에 정원수를 심어 다모이길을 조성했다.

 

이번 활동에 참여한 주민의 93%앞으로 다모이길 사업이 확대된다면 참여하겠다라며 높은 만족감을 표했다. 송학동 고령층 주민은 여러 세대와 어울려 활동하다 보니 서로를 더 잘 이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청년층 주민은 방치된 공간에 직접 식물을 심고 가꾸다 보니 주변이 환해지면서 내적으로 한 뼘 성장한 것 같은 충만함을 느꼈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익산에 만든 시범 모형(모델)을 기반으로 2, 3다모이길을 조성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김광진 과장은 인구 감소 관심 지역인 익산에서 진행한 이번 사업으로 도시농업 기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가능성을 봤다.”라며 “‘다모이길이 지역 소멸 문제를 풀어낼 새로운 모형이 되도록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에는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9개 인구 감소 지역과 18개 관심 지역*이 지정돼 있다.

* 인구감소지수를 기준으로 지정고시(‘21.10.19)89개 인구감소지역, 인구감소지역 다음으로 인구감소지수가 높은 18개 관심지역(행정안전부)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