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과수 탄저병 발생 최소화 ‘총력’ [한국농어민뉴스] 8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팔색조’ 선정 [한국농어민뉴스] 양액재배 다품목 확산 ‘머리 맞대’ [한국농어민뉴스] 산란계 농가 폭염 피해 예방 노력 ... [한국농어민뉴스]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 발표 [한국농어민뉴스] 가리비, 전복 2개 품목에 자유무역협정 피해보전직접지불금 지원 도, 관계기관과 협력 강화…예방접종·개학 전 진료 등 전파 차단 ‘만전’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백일해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가 도내 백일해 예방 및 발생 감시를 위해 관계기관과 소통·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도는 최근 비대면 영상회의 방식으로 충남감염병관리지원단, 도내 15개 시군, 도교육청, 천안교육지원청과 ‘충청남도 백일해 유행 대응 관련 회의’를 열고, 백일해 대응 현황을 살폈다. 7. 31.~8. 3. 보령시 일원, 요트 등 7개 종목 기량 겨뤄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7월 31일(수)부터 8월 3일(수)까지 4일간 충남 보령시 일원에서 ‘푸른 꿈! 푸른 도전! 힘찬 미래! ’라는 주제로 ‘제16회 전국해양스포츠제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국해양스포츠제전은 해양스포츠 전문선수를 육성하고 해양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2006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제15회까지 누적 선수 및 관람객 27 환경부, 양평군, 가수 민경훈 씨 다회용기 사용문화 확산에 맞손지역축제, 스포츠 경기장 등 다회용기 보급사업 다각화 추진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양평군(군수 전진선)은 8월 1일부터 양평군 소재 민간 캠핑장 1곳에 다회용기 사용을 최초로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캠핑장은 ‘겁쟁이’라는 곡으로 유명한 남성그룹 ‘버즈’의 민경훈 씨가 운영하는 곳(집밖으로 캠핑장)이다. 환경부는 전국적으로 캠핑문 대산항 사업시행자로 HD 현대오일뱅크(주)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비관리청 항만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는 ‘대산항 청정복합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사업자로 HD 현대오일뱅크(주)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항만개발 방식 : 항만법에 따라 민간이 항만시설을 개발하여 국가에 귀속하고 투자비만큼 항만시설을 일정기간 무상사용하면서 사용료 등을 징수할 수 있는 사업 ‘대산항 청정복합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기후변화 멸종위기 철새의 주요 서식지이며, 대형저서동물 서식 등 생물다양성이 풍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7월 30일(화) 해양보호생물인 흰발농게, 저어새, 노랑부리백로의 서식지로서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전라남도 여수 갯벌(약 38.81㎢)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신규 지정한다고 밝혔다. 여수 갯벌은 새꼬막의 산지이자 흰발농게, 대추귀고둥 등을 포함한 법정보호종 5종 이상 서식하고 있으며, 드넓은 갯벌과 구불구불한 해안, 아름다 2024년 밀 정부 보급종(‘황금알’ 포함), 유전자분석을 통해 고품질 종자 공급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 이하 종자원)은 2024년 9월부터 신규 공급하는 ‘황금알’을 포함하여 농가가 사용하는 모든 밀 종자를 순도가 높은 고품질의 정부 보급종으로 공급하기 위해 밀 품종식별 신속진단 유전자분석 검정도구(이하 키트)를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2024년 밀 정부 보급종 품종 현황: ‘금강’, ‘백강’, ‘새금강’, ‘황금알’ 제63호 에이(A)-벤처스로 긴트 선정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농식품 분야 우수 벤처창업 기업을 발굴하고 홍보하기 위해 추진 중인 이달의 에이(A)-벤처스 제63호 기업으로 주식회사 긴트(대표 김용현, 이하 긴트)를 선정하였다.▲ 농업(agriculture) 분야 ‘어벤저스’라는 의미로, 최고의 벤처·창업 기업을 지칭(‘19.5~) ‘긴트’는 농기계 자율주행 기술 및 인공지능(AI)·클라우드 ‘유아 질식 위험 장난감, 수술용 나이프, 담배 등’ 경기도는 지난 5월 7일부터 7월 19일까지 중국 쇼핑플랫폼인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 중인 제품을 모니터링한 결과 소비자 위해제품 146건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경기도 소비자정보센터는 소비자 안전 강화를 위해 ▲해외리콜 제품 ▲온라인판매 금지 물품 ▲온라인판매 제한 물품 ▲기타 위해물품 등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모니터링 방식은 쇼핑몰에 <<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