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은행의 지점 127개 중 87개(69%)가 수도권에 집중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재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해남·완도·진도)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협은행 127개 중 87개(69%)가 수도권에 편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르면 “중앙회는 어업인과 조합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함으로써 어업인과 조합의 자율적인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그 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촉진하기 위하여 신용사업을 분리하여 그 사업을 하는 법인”으로서 수협은행을 설립했다.
▲ 수협은행 지점 현황 | ||||||||
서울 | 경기 | 인천 | 부산 | 강원 | 광주 | 대전 | 대구 | 울산 |
57 | 23 | 7 | 12 | 3 | 3 | 3 | 4 | 1 |
경남 | 경북 | 전남 | 전북 | 충남 | 충북 | 세종 | 제주 | |
3 | 1 | 3 | 2 | 1 | 1 | 1 | 2 | |
(출처:수협중앙회) |
하지만 이러한 설립 목적에도 수협은행은 어촌 현장에서 찾아보긴 힘든 실정이다.
수협은행의 지점 127개 중 87개(69%)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특히 서울에만 57개(45%)가 몰려있고, 어업인들이 많은 비수도권 지점은 부산(12개), 경남(3개), 전남(3개), 충남(1개) 등으로 과반수가 되지 못한다.
▲ 수산정책자금 대출규모(‘23년 9월말 기준) | |||
(단위 : 억원, %) | |||
구 분 | 수도권 | 비수도권 | 합 계 |
대출잔액 | 2185 | 9446 | 11631 |
비 중 | 18.8 | 81.2 | 100 |
(출처:수협중앙회) |
어업인이 주로 찾는 수산정책자금은 비수도권 대출 규모가 81.2%로 압도적으로 크다. 어업인들에게 대출이 필요하지만 정작 주변에 수협은행이 없다.
수협은행이 최근 오픈한 ‘Sh수퍼골드클럽’을 통해서도 노골적인 수도권 집중화가 드러난다. ‘Sh수퍼골드클럽’은 프라이빗뱅킹(PB) 서비스 브랜드로 서울 압구정과 양재 두 곳에 전담지점을 마련해 VVIP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 Sh수퍼골드클럽 인원 | ||
(단위 : 명, %) | ||
구 분 | 인 원 | 비 율 |
수도권 | 272명 | 96% |
비수도권 | 12명 | 4% |
합계 | 284명 | 100% |
(출처:수협중앙회) |
‘Sh수퍼골드클럽’에 가입한 비수도권 인원수는 단 4%에 불과하여, 이 또한 수도권 VVIP 챙기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윤재갑 의원은 “수협은행은 어업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비수도권에 대한 투자를 늘려 경제성장을 지원해야 한다”라며 “수협은행이 어업인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다는 본래의 설립 목적을 다해야 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