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정책·판로 확대위한 남도장터 입점방법 등 교육
전라남도는 21일 동부청사 이순신강당에서 2025년 임산물 생산액 1조 원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산림소득 국고보조사업 교육을 실시하고, 임업인과 생산자단체와의 정보 공유 시간을 가졌다.
전남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임업 종사자는 약 3만 명에 달하며, 이 중 전문 임업인인 임업후계자, 독림가, 신지식인 등은 4,798명이다. 전라남도는 지난해 고사리, 조경수, 잔디, 야생화, 건표고 등 10개 품목에서 생산량이 전국 1위를 기록하며, 임산물 생산액 9,776억 원을 달성한 성과를 올렸다.
이번 교육에서는 임업인과 생산자단체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2025년부터 달라지는 지원정책과 시기별 정부 공모사업 참여 방안, 안정적인 유통망 확보를 위한 남도장터 입점 방법 등이 안내됐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업인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최근 겨울철 이상 기온으로 괴사 등의 피해가 발생한 노지 표고버섯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 신규 품목 지정과, 대봉감의 농작물 재해보험 약관 개정도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건의됐다. 특히 대봉감은 여름철 일소 피해와 폭우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2025년 임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임산물 생산기반 조성, 임산물 유통기반 마련, 임업직불금 지원 등 30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미란 전남도 산림휴양과장은 “안정적인 임산물 판로 확보와 기후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임산물의 재해보상 신규 품목 지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청년 임업인들을 위한 컨설팅과 지원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소통과 협력으로 임산물 생산액 1조 원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전라남도는 임업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계절별로 생산되는 임산물을 널리 알리기 위해, 3년 이상 재배하고 생산 실적과 숙련도를 평가하는 ‘이달의 임업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