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회 정책
농축산
수산어업
식품
유통
오피니언
전국
귀농(어)
이슈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한국농어민뉴스] 전국 우체국망 활용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체계, 규모 확대
입력 : 2025-04-22 17:09

지구의 날 맞아 환경부우정사업본부네스프레소 우편 회수 업무협약 체결

59일부터 사업 시행업체 참여 늘며 자원순환 기대, 사업 활성화 발판

 

커피캡슐 시장 1위 업체의 참여로 전국 우체국망(우체통)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체계 규모가 크게 확대된다.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본부장 조해근)지구의 날(4 22)을 맞아 네스프레소 한국지사(지사장 박성용)우편서비스를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사업 업무협약42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8동 회의실에서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내달(5) 9일부터 국제적인 커피 브랜드인 네스프레소의 커피캡슐도 우체국망을 통해 회수할 수 있게 됐다. 이날 협약에 앞서 환경부와 우정사업본부는 알루미늄 커피캡슐에 대한 새로운 회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2024) 7월 동서식품과 협약을 맺고 이 회사의 커피캡슐(카누 바리스타) 수거를 진행한 바 있다.

 

우체국망을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체계에 새로 참여하는 네스프레소는 국내 커피캡슐 판매시장 1위를 선점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 기업의 커피캡슐도 전국 우체국망을 통해 수거가 가능해지면 소비자의 배출 편의 향상과 함께 올바른 자원순환 체계도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네스프레소는 자사의 기존 회수 방법 외에도 우체국 창구 등을 통한 새로운 배출 요령을 소비자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망을 활용한 커피캡슐 회수의 효율화 및 확대에 노력할 예정이며, 환경부는 행정 지원 및 제도 정비에 나설 방침이다.

 

네스프레소 알루미늄 커피캡슐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4월 말부터 네프레소 공식 웹사이트(nespresso.com)에서 온라인 구매 시 우편회수봉투를 함께 신청할 수 있다

 

사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을 우편회수봉투에 담아 전국 3,300여 개 우체국 창구에 59일부터 제출하면 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우체국 창구 외 우정사업본부가 도입 중인 에코(ECO) 우체통을 통해서도 회수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우편서비스를 활용한 재활용 과정

소비자(신청)

소비자(배출)

우체국(배달)

재활용업체

네스프레소 캡슐커피 온라인 구매 시 우편회수봉투 신청

우편회수봉투에 사용한 커피캡슐을 담아 봉함, 우체국 창구 등에 제출

- 커피캡슐 우편물을 재활용업체로 배달

- 커피 박과 알루미늄 캡슐을 자동 분리하여 재활용

 

우체국은 소비자들로부터 건네받은 알루미늄 커피캡슐 우편물을 네스프레소의 재활용센터로 배달하게 되며, 재활용센터는 커피 박(찌꺼기)과 알루미늄을 자동 분리하는 등 재활용 공정에 따라 안전하게 처리를 한다.

 

환경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알루미늄 커피캡슐 등의 일회용 폐자원도 고품질의 활용이 능한 고부가가치 자원이라는 국민 인식 제고와 다양한 회수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회수·재활용 등에 대한 순환용률과 배출편의성 등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검증해 평가할 예정이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이번 협약으로 소비자들에게 배출의 편의성을 높이고 버려지는 폐기물도 자원이라는 국민 인식 제고 효과도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듣고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이번 협약이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민관 업의 대표적 사례가 됐다라며, “우편서비스를 통한 오프라인 회수 활성화로 잦은 배출을 원하거나 온라인 수거 신청에 어려움을 느끼는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박성용 네스프레소 한국지사장은 네스프레소는 지난 2011년부터 15년째 커피캡슐을 재활용하며 커피캡슐 업계의 선도 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있다라며, “2024년 기준 2,248톤의 캡슐을 재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1,810톤의 탄소 절감 효과를 이뤄냈고 이번 협약을 통해 소비자, 정부, 기업이 함께 자원의 선순환을 만들어갈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국농어민뉴스 앱다운 받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후원계좌
Copyright by 한국농어민뉴스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