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회 정책
농축산
수산어업
식품
유통
오피니언
전국
귀농(어)
이슈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한국농어민뉴스] 올해, 이상기후로 수산재해 양상도 달라져
입력 : 2025-10-20 15:38

수과원, 올 여름 고수온, 적조, 해파리 발생 경향 분석 결과 발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올해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재해 발생 원인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해양환경 및 수산재해 양상이 해역별로 크게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고수온 특보기간은 작년 대비 14일이 증가하여 85일간(7.9.10.1.) 이어져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하였다. 우리 바다 연근해 해역의 7월에서 9월까지 평균 수온은 26.8~27.8로 평년 대비 2~4높아 작년과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지만,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22~30)8월부터 작년 대비 수온 변동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남해와 동해 연안은 7월 초~8월 초에는 작년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온 분포(18~27)를 보이다 8월 중순~9월 말에는 작년보다 2~4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남부해역은 잦은 정체전선 발달로 기록적인 호우와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에 의한 지속적인 남풍의 영향으로 냉수대가 형성되고 적조생물이 성장하기 좋은 수온대(2427) 형성, 영양염 증가 및 경쟁생물 감소로 6년 만에 적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상기후 영향은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출현에도 영향을 주었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나타난 저수온 현상으로 해파리 출현과 성장을 저하시켜 어업활동 및 피서객 등의 해파리 피해는 전년 대비 44% 감소하였다.

 

올해 고수온에 따른 양식 생물피해는 남해와 동해 연안 수온 상승 둔화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조기출하, 긴급방류 등 선제적 대응조치로 전년 대비 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최용석 수과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우리 바다의 환경이 매년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수산재해 양상도 달라지고 있다라며, “기후변화로 빠르게 변화하는 우리 바다의 생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예측 기술 고도화 및 사전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국농어민뉴스 앱다운 받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후원계좌
Copyright by 한국농어민뉴스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