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다사홈쇼핑
S-PAY
GNB토큰
클릭광고
회원가입축복행운권
크리에이터방송
뉴스광고
오프라인매장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농업기술원
경북농업기술원, 복숭아 신품종‘새빛반도’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과중 170g, 당도 11.2브릭스로 향기 풍부한 고품질 조생종 백도 반도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됐던 일명 납작복숭아의 신품종‘새빛반도’를 국내 최초로 육성해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했다고 밝혔다. ‘새빛반도’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맞춰 2016년부터 반도형(넓은 편원형) 품종 육성에 주력해 2018년‘
여왕벌의 안정적인 산란을 위해 보온 및 응애 방제에 신경써야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은 꿀벌의 안정적인 증식을 위해 월동을 마친 꿀벌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철저한 보온과 병해충 방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통 꿀벌 농가의 ‘봄벌 깨우기’는 월동하는 동안 활동이 멈춰 있던 봉군이 여왕벌 산란을 기점으로 일벌 육아 등 활동을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입춘(25년 기
청년농업인 창업 지원사업 연계, 최대 4천만 원 지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은 청년농업인의 창농 활성화를 위해 청년창농타운 회원 900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1월부터 진행한 상반기 창농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3일 밝혔다. 청년창농타운은 농산업 창업을 지원하는 전문시설로, 청년농업인이 창업을 통해 농업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단계별 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보보스’, ‘캐롤라인’ 등 장미 6품종, ‘스트라이프핑크’, ‘골든스타’ 등 국화 8품종참여 신청은 2월 21일까지 해당 지역 시군농업기술센터로 문의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경기도에서 자체 육성한 장미·국화의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해 오는 21일까지 현장 실증사업에 참여할 농가를 모집한다. 현장 실증사업이란 재배 농가에 종묘와 재배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대상은 장미 6품종과 국화
2.10부터 ‘경상북도농업방송(GBATV)’통해 교육 영상 공개전정, 수형 구성, 이상기상 대응 방법 등 주요 농작업 시기별 맞춤 기술 제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경북도 사과 생산구조 대전환의 도정 목표 성공 추진과 사과 다축재배 농가의 안정적 기술 보급을 위해 2월 10일부터 온라인(유튜브) 채널에서 사과 다축재배 교육 영상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유튜브 채널 : 경상북도농업방송(GBATV)
신품종 ‘호풍미’ 우량 씨고구마 보급으로 농가 지원 강화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은 도내 7개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신품종 고구마 ‘호풍미’ 1.5톤을 농업인에게 무상으로 보급한다고 밝혔다.▲ 7개 시군 : 청주, 충주, 보은, 옥천, 영동, 괴산, 음성 이번에 보급되는‘호풍미’품종은 붉은색 껍질과 균일한 모양으로 상품성이 우수하다. 조기재배 시 수확량이 많고, 일찍 출하가 가능해
전북지역 생육재생기 2월 13~15일로 판단생육재생기 이후 웃거름 주기 및 배수로 정비 등 관리 당부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에서는 금년 1월 평균 기온이 1.2℃로 전년대비 1.0℃ 낮고 2월 평균기온이 전년대비 낮을 것으로 전망되어 금년도 전북지역의 맥류 생육재생기를 전년보다 6일 정도 늦은 2월 13~15일로 설정하였다. 생육재생기는 식물체를 뽑았을 때 연한 우윳빛의 새
2024년 작물 재배현장 병해충 문제, 민원 분석·처방 대표 사례 57건 수록피해 원인 정밀진단과 조기 대처로 고품질 농산물 생산 및 농가소득 증대 견인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도내 농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작물의 문제 병해충 등의 민원에 대한 진단과 대처방안 제시 사례를 모아 책자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농업현장 문제해결! 2024 농작물 병해충 민원 진단 사례』라는 제목으로 1천
기후변화 대응 농작물 병해충 방제 기술 지원 강화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은 기후변화와 새로운 작목 도입에 따른 농작물 병해충 발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임상 진단과 방제 기술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전남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로부터 접수된 병해충 진단 의뢰는 139건에 달하며, 주요 진단의뢰 사례로는 토마토 줄기속썩음병, 멜론 탄저병, 무화과 울도하늘소 등
주요 총채벌레 간이 진단법 및 피해 증상 수록 최근 기후변화로 농작물 병해충의 발생 시기가 빨라지면서 식물바이러스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은 원예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주요 총채벌레의 특징 및 관리요령’을 담은 리플릿을 제작해 배포했다고 5일 밝혔다. 총채벌레는 세대기간이 짧고 번식력이 강한 해충으로, 작물에 구멍을 뚫어
시설 및 노지 재배 따른 최적 품종 추천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고품질 구기자 생산을 위한 재배 환경별 적합한 품종을 안내했다. 먼저, 비가림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할 경우 노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탄저병을 예방할 수 있어 자가화합성 품종인 ‘화수’ 가 적합하다. 노지에서는 잦은 강우에 의한 탄저병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병해충에 강하고 자가화합성인 ‘화강’ 품종 또는 자가불화합성인 ‘청명’과 ‘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 확대...공공형 계절근로자 작업범위 개선 등 전라남도가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와 공공형 계절근로자 농작업 허용 범위 확대 등 올해 달라지는 농업 분야 제도와 시책을 안내하고, 농업인이 변경사항을 이행하지 않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도에 나설 방침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부터 여성농어업인 평균연령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를 감안해 행복바우처 지원 대상을 기존 75세
육묘기 유용미생물제 사용으로 파프리카 건전묘 생산 가능파프리카 육묘기 유용미생물제 처리 시 뿌리 활력 14% ↑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은 유용미생물제제를 활용하여 양액에 관주하는 파프리카 육묘기 생육 증진 기술을 개발하였다. 파프리카 육묘는 혹한기(12~1월)의 저일조, 혹서기(6~8월)의 고온 등 환경이 극심할 때 이루어지는데, 어린 묘들은 혹독한 환경에서 몸살을 앓기 십
맥류 파종적기 10월 25일부터 11월 10일종자소독 및 배수로 정비 등으로 월동 피해 최소화 최근 잦은 강우로 인하여 맥류 파종시기가 늦어지는 가운데,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최준열)에서는 맥류 안정생산을 위해 철저한 종자소독과 지역에 맞는 적정 파종시기를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전북지역의 파종 적기는 10월 25일부터 11월 10일 사이인데, 이는 추위가 시작되기 전에 식물체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