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다사홈쇼핑
S-PAY
GNB토큰
클릭광고
회원가입축복행운권
크리에이터방송
뉴스광고
오프라인매장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해양수산부
현행 15종에서 가리비, 우렁쉥이, 방어, 전복, 부세 5종 추가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음식점 내 원산지 의무표시 대상 수산물을 현행 15종*에서 20종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일부개정령안이 12월 27일(화) 국무회의에서 통과되었다고 밝혔다.* (현행) 넙치, 조피볼락, 참돔, 미꾸라지, 뱀장어, 낙지, 명태, 고등어, 갈치, 오징어, 꽃게,
총 504억원 투입, 바다숲 15개소, 산란·서식장 4개소 확대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해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3년에 바다숲 15개소,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4개소를 추가 조성한다고 밝혔다. 바다숲 조성은 바다사막화로 인해 훼손된 연안해역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시행 중이며, 주로 바다식물(대황, 감태, 모자반, 잘피 등) 이식
수산업법 시행령, 전부개정령안 3일 국무회의 의결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수산업법 시행령」전부 개정안이 1월 3일(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이달 12일(목)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수산업법」전부개정(‘22.1.11개정, ’23.1.12시행)을 통하여 신설된 어구관리 제도와 총허용어획량(TAC) 중심의 어업관리 추진을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올해부터 고품질 생분해 가자미 그물 첫 보급 시작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유령어업 저감과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생분해 그물 보급사업’의 어업인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내년에 보급하는 친환경 생분해 그물은 대게·붉은대게·꽃게·참조기·가자미·감성돔용 자망과 붕장어·문어·꽃게·골뱅이용 통발이다.▲ 유령어업 잘 썩지 않는 나일론 등의 섬유로 만들어진 그물이 유실되어 물고기가 걸리게
청년어촌정착 지원 금액도 최대 월 110만원으로 증액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어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여 청년층의 어촌유입을 확대하기 위한 ‘2023년 청년어촌정착지원 사업’ 대상자를 2022년 12월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어촌 정착을 지원하여 어촌 이탈을 방지하고 우수한 청년인력을 어촌에 유치하기 위해 2018년부터 ‘청년어촌정착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물가 관련 예산 신속하게 집행, 민생경제 회복에 기여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3년도 예산(기금 포함) 총지출 규모가 국회 심의과정에서 정부안 6조 3,814억 원보다 518억원 증액된 6조 4,333억원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도 본예산 6조 3,849억 원보다 0.8%(483억원) 증액된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수산·어촌 부문에 2조 9,474억 원(2022년 대
- 한국농어민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연안 171개소의 조류정보가 수록된“2023년 조류표”간행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변재영)은 국민의 안전한 해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류정보를 담은「2023년 조류표」를 간행하고, 이를 이미지 형태로 나타낸 달력형 조류표도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고 밝혔다. “2023년 조류표”에는 조류의 방향이 바뀌는 전류시각, 하루 중 유속이 빠르게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거쳐 12월 20일(화)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유수면 점용·사용허가를 할 때 고려해야 할 다양한 기준들이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정되었다. 최근 해상풍력 발전시설, 해안데크 설치 등 공유수면 점용·사용 수요가 증가하고
총 124개소 신청, 2023년도 대상지 60개소 선정 예정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지난 11월 16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실시한 ‘2023년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대상지 60개소 선정 공모’에 총 124개소가 신청하였다고 밝혔다. 어촌은 해양영토 수호, 수산물 생산, 전통문화 계승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어촌은 어업에 종사하는 어가인구가 2000년 대비 6
제1호 전문기관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김 관련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할 김산업 전문기관으로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를 제1호 기관으로 지정하였다. 글로벌 식품 소비 트렌드인 ‘간편하고 건강한’ 식품의 요건을 충족하는 김제품은 미국, 중국, 일본 등 114개국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전세계 김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식품으로 수출은 지속 증가